#05 네트워크 기초 : OSI 3계층(1) : ARP (WireShark)

728x90
반응형

01. 3계층 ARP가 하는 일 

: Address Resolution Protocol

: ARP는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하기 위해 IP주소를 이용해서 상대방의 MAC 주소 알아오는 프로토콜

: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한다고 해도

  7계층부터 캡슐화를 통해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IP주소 MAC주소 모두 필요함

etc-image-0
ARP는 총 28바이트 / 이더넷은 14 바이트

 

* Hardware type : 2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타입 (이더넷 0001)

* Protocol Type  :  Source Protocol의 타입 (IPv4 0800) 16진수 = 4비트 

* Hardware Address Length : MAC주소의 길이 (6바이트 = 06)

* Protocol Address Length   : IPv4주소의 길이  (4바이트 = 04)

* Opcode : 오퍼레이트 코드 ( 요청(0001) || 응답(0002)에 대한 코드 )

 

* Source Hardware Address 빨간색 : 출발지 MAC주소

* Source Protocol Address   연두색 : 출발지 IPv4주소

* Source Hardware Address 하늘색 : 도착지 MAC주소

* Source Protocol Address   노란색 : 도착지  IPv4주소

 

* Padding : 네트워크의 최소 크기

(ARP(28바이트) + 이더넷(14바이트)  = 총 42바이트인데 최소 60바이트의 차액을 채워주는 숫자)

02. ARP 통신 과정 (IP주소로 MAC 주소 알아오기)

etc-image-1
(1) 같은 네트워크 대역
etc-image-2etc-image-3
(2) MAC주소를 모두 1로 채워서 브로드캐스드 주소로 모두에게 보냄

 

etc-image-4
(3) ARP 응답 프로토콜을 만들어서 줌 ( 본인 MAC주소 작성해서 전달함 )

 

 

03. ARP 테이블 

: 통신했던 컴퓨터들의 주소는 ARP 테이블에 남는다

: cmd - "arp -a"

 

04. ARP WireShark

etc-image-5

 

? : 요청 --> broadcast로 다 요청해서 확인

is at : 응답 

 

 

 

끝.

 

 

 

 

 

 

출처 : 따라하면서 배우는 it 

반응형